이재명 셧다운 가능/민주당 경선 과반수 득표율 1위 지지율 대세론 확인

ㄹl애

·

2021. 9. 5. 11:34

반응형

 

더불어민주당 첫 경선 이재명 후보 압승

 

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인 이재명 후보가 4일 대전·충남 경선에서 과반 득표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

 

 

더불어민주당 대전·충남 경선 이재명 과반 득표 지지율


대전·충남 경선은 첫 지역 순회 경선으로 4일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됐다. 이재명 후보는 투표자 2만5614표 중 1만4012표 (54.81%)를 얻어 1위를 기록했다.

이 후보는 이날 오후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전·충남 경선에서 대의원·권리당원·국민일반당원의 온라인·ARS·현장 투표를 집계한 결과, 유효투표수 2만5614표 중 1만4012표(54.81%)를 얻어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. 

 

 

 

이재명 후보  정견발표 -자신의 실천력 강조 


이 후보는 이날 정견발표에서 자신의 실천력을 강조하며 "전 지역에서, 전 연령대에서, 진보·중도·보수 모든 진영에서 압도적 경쟁력을 가진 후보가 누구냐"며 "어떤 경우에도 반드시 이길 후보, 바로 저 이재명이 유일한 필승 카드"라고 목소리를 높였다. 

 

 

 

 

이낙연 2위 정세균 3위 추미애 4위 

 

이낙연 후보는 7007표(27.41%)로, 2위를 차지했다. 이낙연 후보는 2위를 기록했지만,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가 27.40%포인트(p) 차이를 보이면서 추석 이후 열리는 호남 지역 경선에서 최대한 큰 표 차이로 승리해야하는 부담감을 안게 됐다. 


정세균 후보는 2003표(7.84%)를 얻어 3위를, 추미애 후보는 1704표(6.67%)로 4위를 기록했다. 최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'여당 인사 청부 고발' 의혹을 두고 재조명 받고 있는 추 후보가 선전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지만, 조직력과 도덕성을 강조한 정 후보가 득표율에서 앞섰다. 


이어 5위는 박용진 후보 624표(2.44%), 6위는 김두관 후보 214표(0.84%) 순이었다. 

이날 발표된 투표 결과는 대전·충남 지역의 대의원 980명, 권리당원 5만1776명, 현장투표를 신청한 국민·일반당원 64명 등 총 5만28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.

 

 

더불어민주당 경선 이재명 이낙연 정세균 후보 한마디 

 

[이재명/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후보]
"본선 경쟁력을 중심으로 승리할 수 있는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해주셨다라고 생각합니다."
"국민을 하늘로 알고 우리 당원을 민주당의 주인으로 잘 섬기도록 하겟다"며 "더 낮은 자세로 겸허하게 국가와 국민의 삶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집중하고 원팀이 되도록 네거티브 없는 정책 선거에 집중하겠다"

 

 

 


다소 큰 격차로 2위에 머문 이낙연 후보는 "겸허하게 받아들인다"며 "아직 갈 길은 많이 남아있다"고 말했습니다.

[이낙연/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후보]
"대전·충남 당원의 선택을 겸허히 받아들인다. 제 부족함이 드러났다고 생각한다"
"200만 선거인단 중에서 6만 명의 판단입니다. 앞으로 갈 길이 많이 남아있습니다.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"




자가격리 중이지만 조직력을 앞세워 3위에 오른 정세균 후보도, 반전을 다짐했습니다.

[조승래 의원/정세균 캠프 대변인]
"여론조사 결과보다는 다소 수치가 좀 높은 것으로 저희들은 이해하고 있어서 절반의 목표는 달성했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."

"지지율은 높지 않지만 도덕성만큼은 그 누구보다 높다"며 "충청에서 승리의 바람을 일으켜달라"

민주당은 이번 대전-충남을 시작으로 한달 남짓 동안 10번의 순회경선을 치릅니다.

오늘은 충북과 세종지역 순회경선 결과가 청주에서 발표됩니다.

 

 

 

이재명 관련주 정리, 이재명 공약 정리

 

 

 

이재명 관련주 정리 / 이재명 지지율 /이재명 공약/

이재명 관련주 KD KD 건설사업부문과 전자사업부문(전자통신부품 제조)을 영위하고 있음. 몰드사업부문은 2018년 영업중단. 주택부문은 경기변동과 금융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분야로, 경

originaljam1004.tistory.com

 

반응형